이웃집또털어

 

 

- 줄거리

구소련의 브레즈네프 시절, 촉망받던 지휘자 안드레이 필리포프는 오케스트라에서 유태인 연주자들을 몰아내라는 당의 지시를 어겨 지휘를 그만두게 된다. 음악에 대한 열정을 삭히며 30년 동안 볼쇼이 극장의 청소부로 일하던 그는, 어느 날 극장장의 방을 청소하다가 파리의 샤틀레 극장에서 보내 온 팩스를 우연히 발견한다. 볼쇼이 극장 오케스트라를 파리에 초청하고 싶다는 그 팩스를 읽는 순간, 그의 머리에는 무모한 아이디어가 떠오르고, 이미 연주를 그만 둔 옛 유태인 동료들을 규합하여 정규 볼쇼이 극장 오케스트라 대신 파리로 연주 여행을 떠난다. 지휘자 필리포프가 원하는 것은 오직 하나, 젊은 여성 바이올리니스트 안느-마리 자케와 함께 차이코프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연주하는 것. 과연 필리포프와 안느-마리 자케의 관계는? 그리고 그들이 연주할 차이코프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에는 어떤 사연이 숨겨져 있을까?

-제작 노트
페레스트로이카로부터 10년 전, 구소련에서는 정치적인 이유로 탄압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이 영화는 당시 고통 받아야 했던 음악가들의 아픔을 그리고 있다. 루마니아 출신의 라두 미하일레아누 감독은 프랑스 국립영화학교 IDHEC를 나와 1993년 장편영화로 데뷔하여 몬트리올영화제 신인감독상과 베니스영화제 국제비평가협회상을 수상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더 콘서트>를 통해 독재자 차우세스쿠 정권에서 어린 시절 경험해야 했던 억압을 슬며시 끄집어내어 아름다운 선율과 함께 유머러스한 연출로 관객에게 보여준다. 한편 지휘자 안드레이 필리포프 역을 맡은 알렉세이 구스코프는 약 70편의 작품에 출연한 러시아의 국민배우로 스스로 음악적인 재능이 없다고 밝혔지만, 지휘자 역할을 멋지게 소화해 냈고,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프랑스의 배우 멜라니 로랑은 안느-마리 자케 역할을 소화하기 위해 3개월 동안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린 주자에게 바이올린을 배우는 등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주었다. 미우 미우와 프랑수아 베를레앙 등 탄탄한 조연들의 뒷받침과 함께 라두 미하일레아누 감독과 두 번째로 호흡을 맞춘 프랑스의 영화음악가 아르망 아마르는 이 작품으로 세자르상을 받았다. 오랫동안 음악과 떨어져 살아야 했지만 우여곡절 끝에 하나의 화음을 만들어 낸 음악가들의 이야기, 그리고 유서 깊은 파리의 샤틀레 극장에서 펼쳐지는 차이코프스키의 아름다운 선율은 우리에게 멋진 음악의 감동과 함께 음악을 통해 과거를 극복하고자 하는 이들의 열정을 느끼게 해줄 것이다. (2010년 6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관련 정보

Tchaikovsky -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35 

 

 

 

#1

차이코프스키(.P. Tchaikovsky)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으로 1878년에 작곡되었다. 이 작품은 당시 페데르 부르크 음악원의 교수였던 레오폴트 아우어(L eopold Auer;1845-1930)에게 헌정되었으나, 처음에는 기교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연주되지 않고 있다가 라이프찌히 음악원 교수인 아돌프 브로즈키에게 재헌정, 브로즈키에 의해 1881년 12월 4일 빈에게 초연되었다. 초연 당시에는 그리 호응을 얻지 못하였지만 이후 브로즈키와 아우어의 연주에 의해 점차 알려지기 시작했고, 지금은 바이올린 협주곡 중에서 최고의 걸작으로 인정받고 있다. 차이코프스키는 이 곡에서 러시아의 민요를 사용하여 독특하고 애수에 젖은 아름다운 선율을 만들어내는 등 그의 독창적인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전체는 3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악장은 알레그로 모테라토 앗사이 D장조의 소나타 형식이고, 제2악장은 칸쪼네타 안단테 g단조로 되어 있는데 쉬지 않고 3악장으로 이어진다. 제3악장은 알레그로 비바칫시모 D장소의 론도 소나타형식으로 되어 있다.
#1 출처 : http://www.sac.or.kr/magazine/young_detail.jsp?id=198&page=5 (청소년 100선)

 

#2

제 1악장(Allegro moderato - Candenza)

소나타 형식의 악장이다. 서주에서 잠시 주제가 암시된 후 바로 바이올린에 의해 낭랑히 울려펴진다. 전개부에서는 화려한 바이올린의 테크닉의 향연이 펼쳐지며 폭발하듯 터져나오는 오케스트라의 야성적인 외침은 짜릿한 쾌감을 느끼게 한다.

카덴짜 (독주자가 반주없이 자신의 기교를 최대한 과시하는 즉흥연주를 하는 부분. 고전파 이후 상당수의 작품에서는 작곡자가 대부분 카덴짜까지 겸해서 작곡해두는 것이 대부분이나 일부 연주자들은 자신만의 카덴짜를 연주하기도 한다)가 끝나면 다시 처음의 주제가 반복되고 곡이 절정으로 치달으면서 끝나게 된다.


1악장(Allegro moderato - Candenza)
Sarah Chang, Violin
Sir Colin Davis, Conductor
London Symphony Orchestra, 1993. 3. 23

제 2악장(Canzonetta -Andante)

'칸쪼네타 (작은 노래)' 라고 되어있는 A-B-A의 3부형식으로 되어있다. 애수어린 멜로디가 곡전체를 지배하며 깊은 감동을 자아내는데, 이는 매우 슬라브적인 정서가 풍부한 선율이다. 곡은 명확히 끝나는 부분이 없이 3악장으로 연결된다.


2악장 (Canzonetta-Andante)
Sarah Chang, Violin
Sir Colin Davis, Conductor
London Symphony Orchestra, 1993. 3. 23

제 3악장(Allegro vivacissimo)

자유로운 소나타형식의 악장이다. 전악장에서 이어진 곡은 갑자기 분위기가 확 바뀌면서 열광적인 리듬의 축제로 변한다. 중간에 잠시 우수어린 선율이 고개를 내밀다 제시부의 첫선율이 다시 나타나기를 되풀이 하다 점점 열기를 고조시켜 나가면서 마지막에는 환희에 찬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의 총주로 끝맺는다.


3악장 (Allegro vivacissimo)
 Sarah Chang, Violin
Sir Colin Davis, Conductor
London Symphony Orchestra, 1993. 3. 23

#2 출처 : http://kuybong.ohpy.com/144990/3 (귀봉의 열린 사랑방)

 
 
오랫만의 긴 휴일(?)  집에서 빈둥거리다 영화 한편을 봤습니다.
 
이직하고 나서 바쁜 나날이라는 핑계로 일만 하고 잠만 자다가 오랫만의 휴식이라 ^^;
 
무엇이든 무엇인가 알아가려면 그것에 대한 시대배경이나 연유? 동기? 등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가방끈이 짧아(?) 시대 배경으로 극중 인물들의 스토리 진행상의 개연성을 이해하기 힘들더군요..
 
그래서 인물의 극중 처지를 이해하기 보다는 '저렇구나' 라고 강제로 납득하고 영화를 보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네이버나 다음등의 나쁜평점이 더 와 닿았지만 납득하고 넘어가니 긍정적인 부분이 더 와 닿더군요..
 
장르중에 코메디가 붙어 있는데.. 웃을 수 있는 부분이 어디인지 모르겠더군요..;; 정서 차이인가..
 
뭐 영화 배경이나 인물을 이해 하고 영화를 볼 수 있다면 더 없이 좋은 영화가 되리라 생각되지만
 
간단히 줄거리나 제작노트 정도만 읽으셔도 좋은 영화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
(블로그가 네이버라 네이버쪽 자료를 가져오려고 했는데 빈약해서 다음것을 가져 왔습니다.;;)
 
상단의 영화 정보 이외에 하단의 관련정보는 극중의 음악입니다.
(개인적으로 현악기의 선율을 좋아해서 ^^;)